교과목개요 > 인천대학교 디자인학부

교과목개요

자기설계세미나ISelf-Design Seminal I

대학생활 안내 및 전공에 대한 이해를 통해 스스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자기설계세미나IISelf-Design Seminal II

대학생활 안내 및 전공에 대한 이해를 통해 스스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입체디자인3Dimensional Composition

3차원의 공간연출과 전개방법을 통하여 입체조형과 입체구조의 유기적인 연관관계를 경험케하고, 사물을 능력과 새로운 조형구조를 창조할 수 있는 입체적인 사고와 표현능력을 키워준다.

평면과디자인Design of level

평면에 대한 기초적인 디자인의 원리 및 개념을 이해하고, 시각적 효과를 평면상에 배치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한다.

디자인발상과드로잉Design Idea and Drawing

본 교과목은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시각화하는 디자이너의 기초역량을 배양하는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드로잉 및 스케치에 대한 기초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아이디어 발상 중심의 감성적이고 미학적인 구상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표현방법을 습득한다.

색채와이미지Color and Image

색채 심리, 색채 공학을 바탕으로 색채의 기본원리를 학습한다. 다양한 이미지 제시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고 디자이너로서 필요한 컬러 능력을 배양한다.

사진Photography

사진 구성을 위한 빛과 구도, 디자인 요소에 대해 강의 한다. 조리개, 셔터, 조명, 렌즈의 사용법과 응용 방법을 소개하고 시각적인 요소를 이해한다. DSLR 카메라 및 필름 카메라를 사용해 실내 및 실외에서 실전 촬영을 통해 창의적인 사진 작품을 만들어 본다.

디자인ThinkingDesign Thinking

과목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끌어내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물에 대한 견해와 관심을 다양화시키기 위한 과목이다. 학생들은 각종의 사물, 사건, 현상 또는 개념을 탐구함으로써 스스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실체적인 디자인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체험한다.

3D이미지의이해3D Image understanding

이미지를 입체로 표현하는 디자인 기술을 배울 수 있다. 3D 이미지의 촬영, 편집, 표현기술을 전달한다. 기존의 제품과 3D 이미지를 적용해 융합하는 새로운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 3D 이미지를 활용해 차별화된 디자인 굿즈 연출과 비즈니스 방법을 배울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문자와 관련한 시각언어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자의 구조를 연구하여, 다양한 문자디자인의 활용범위를 탐구한다.

디자인문화와역사Design Culture and History

Design Culture and History is an english theory class on history of design. The class aims to look through the flow of design cultur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design. Purpos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design terms according to its period and culture frame.
본 수업은 디자인 역사의 의미와 필요성을 고찰하고 새로운 관점의 디자인사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디자인사 내용을 구성하고 과거로 끝나는 것이 아닌, 현재와 미래의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디자인 내용의 강의이다. 산업 초기에 디자인의 사회적, 문화적 상황과 산업혁명 이후 디자인 유럽의 디자인 운동과 현대 디자인 경향을 연구한다. 기술의 발전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역할이 미래를 위해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를 강의한다.

디지털그래픽Digital Graphic

모든 디자인 목적에 부응하는 소재응용 및 표현의 기량을 향상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정으로 디자인 및 고품격의 새로운 이미지 등의 다양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디지털 그래픽스의 입문 과정으로서 컴퓨터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고, 이들을 변형시키는 등의 효용성을 연구하는 중요한 기초 과정이며 2D 소프트웨어 등을 통하여 효과적인 색채 표현 능력 및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사용 능력을 향상시켜 작품 제작 능력을 개발함으로서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작품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제품디자인방법론Product Design Methodology

제품디자인방법론 수업은 기본적인 제품 디자인 방법론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와 그 프로세스의 각 단계와 관련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 및 툴에 대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이해는 그 지식과 기술을 기초 수준의 제품 디자인에 적용해봄으로써 더욱 강화됩니다.

영상과디자인Image and design

영상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영상디자이너로서 역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스토리와 이미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유형의 영상 스토리텔링 개발 가능성과 디자인에 대한 수업이다.

디자인구현프로그래밍Design Embodiment Programming

이 수업의 주된 목적은 구상한 제품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초 컴퓨터 프로그래밍 역량을 배양하는 것이다. 구상한 제품 내부 설계를 실질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인 C언어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기초 수준에서의 사용을 습득한다. 이는 4학년 졸업연구 수업에서 진행되는 아두이노 혹은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하여 워킹 프로토타입을 제작함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에 토대가 될 수 있다. 또한 C언어는 모든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근원으로써 다른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다.

실감콘텐츠영상디자인Realistic contents Image design

영상을 실감 콘텐츠로 표현하는 디자인 기법을 배울 수 있다. 실감 콘텐츠 영상을 위한 스토리 구성과 촬영 방법을 전달한다. VR, 홀로그램에 대한 영상 디자인을 소개하고 실감 콘텐츠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GUI디자인GUI Design

본 과목에서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스크린 기반의 미디어에서 GUI (Graphic User Interface)에 관련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디자인 실습을 통해 UI/UX디자인에 필요한 기초적인 소양을 쌓도록 한다. 컨셉 도출과 아이디어 발상의 구상 과정을 거쳐 디지털 디자인 툴 사용을 통한 시각화 구현으로 GUI디자인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도록 한다.

타이포와이미지Typography and Image

시각언어의 기본인 Type을 기본 디자인 요소로 하는 타이포그래피의 space, line, mess, tonal value, texture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다양한 Design Solution에 적용해 본다.

3D컴퓨터디자인3D computer design

본 교과목은 디자인에 있어서 컴퓨터 그래픽스의 활용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주로 3D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실제 컴퓨터를 활용하여 기초적인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법과 프로세스, 방법을 익힌다.

그래픽디자인Graphic Design

여러 가지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문자, 심벌, 색채와 같은 그래픽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포스터나, 책표지 등 공리적이고 실제적인 과제의 목적에 맞게 창의적으로 디자인함으로써 그래픽의 표현원리를 습득해나간다.

기초제품디자인Basic Product Design

기초제품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제품개발의 기획 단계부터 생산되기까지 전반적 흐름을 이해시키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아이디어발상, 아이디어 스케치, 디자인제도 등 기본적인 디자인 능력을 배양하며, 제품에 대한 형태와 기능 및 재료와의 유기적 관계를 터득하게 한다.

레이아웃디자인Layout Design

레이아웃디자인 수업은 시각 요소를 활용한 다양한 레이아웃을 포스터 디자인을 통해 배우는 수업이다.

사용자경험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사용자경험디자인 수업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인간중심의 창의적 발상과 실제적인 방법을 연구한다. 디자인에 관련된 문제나 이슈의 창의적 사고 방법과 프로세스를 토론과 워크샵을 통해 경험해 본다.

디지털엔터테인먼트콘텐츠Digital Entertainment Contents

문화콘텐츠 산업은 21세기의 신성장동력 분야이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욱 몰입감과 현실감 있는 콘텐츠의 구현이 가능해지면서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과목은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의 핵심 이론과 최신 트렌드를 학습하고 이해하며 창의적인 프로젝트 실습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수 있는 디자인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Multimedia Programming

Processing, P5js를 학습하고 크리에이티브 코딩의 개념을 이해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이미지, 사운드, 마이크로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오브젝트 등 –을 이해한다. 프로그래밍 실습 및 디자인 작업에의 적용을 통해 융합적, 창의적 사고를 함양한다.

리빙제품디자인Living Product Design

본 교과목은 가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리빙영역에서 사용되는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을 학습하는 것으로, 설치되거나 이동하며 사용하는 모든 제품디자인을 범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방법론을 배우고, 디자인 개선에 필요한 니즈와 인사이트를 정의하고 구체적인 해결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디지털영상제작Digital Image Production

생각하고 상상한 내용을 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프리 프로덕션에서 포스트 프로덕션 까지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강의이다. 디자인 센스를 바탕으로 기획, 스토리보드, 촬영, 런리니어 편집에 대해 활용 방법을 배울 수 있고 창의적으로 스토리를 구성하여 독창적인 영상 작품을 제작해 보는 수업이다.

모션일러스트레이션Motion Illustration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을 통하여 하나의 완성된 시퀸스 이미지를 만든다. 그 후, 간단한 모션을 추가하여 영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증거기반제품디자인Evidence-based Product Design

증거기반제품디자인 수업은 디자인된 모든 인공물의 구성요소 형성에는 과학적 그리고 합리적인 근거와 이유가 내재하여 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본 수업에서는 대상 제품의 각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타당한 증거와 이유를 고려하여 제품 디자인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탐구합니다. 이 수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그러한 증거와 이유를 기반으로 더욱 설득력 있는 제품을 디자인하는 있는 역량을 함양하여, 중급 수준의 제품 디자인 능력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캐릭터디자인Character Design

캐릭터 디자인은 소비자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이름, 성격, 행동 등에 강한 개성이 담겨져 있도록 하는 상징물로서 상품화 가치가 있는 상업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디자인으로 이를 위해 디자인의 다양한 표현 방법과 테크닉을 지도한다.

모션그래픽스Motion Graphics

컴퓨터 그래픽 영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광고영상, 영상타이틀 디자인 등의 다양한 영상콘텐츠를 위한 시각적 효과를 중심으로 디자인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제품서비스시스템디자인Product Service System Design

본 교과목은 기존 제품에 서비스 요소가 추가되는 ‘제품의 서비스화’를 기초로 하여 기존 제품이 가지는 사용 목적과 더불어 융합된 서비스 요소가 제공하는 부가가치를 정의하고 시각화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개발과정과 범위에 있어서 융합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제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 전개 능력을 학습한다.

인포그래픽디자인Infographic Design

데이터를 정보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연구하고 배우는 수업이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의미를 추출하고 적절한 시각화 방법을 찾아 인포그래픽디자인을 완성하기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경험한다.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그래픽디자인을 기본으로 한 인쇄출판물의 전체적 디자인 과정을 기획하고, 관련 매체와의 관계를 이해하며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익힌다.

광고디자인스튜디오Advertisement Design Studio

본 강의에서는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특성을 탐구하고 학습하며 이와 함께 광고디자인의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인쇄매체에서 영상매체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매체 특성에 부합하는 광고의 기획과 제작을 실무와 유사한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

데이터주도제품디자인Data-driven Product Design

데이터주도제품디자인 수업은 제품 디자인 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데이터를 주요 기반으로 제품을 디자인하는 지식과 기술을 배양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제품 디자인에 관련된 여러 가지 영역에서 얻은 데이터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제품 디자인 수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이며 신뢰할 수 있고 합리적인 제품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됩니다. 이 수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러한 데이터 기반 제품 디자인을 통해 고급 수준의 제품 디자인 역량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비주얼스토리텔링Visual Storytelling

이야기 전달 방법, 즉 이야기하기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반응을 나타내 보인다. 이야기를 이용한 스토리텔링을 디자인 기반으로 한다. 어떤 형태의 이야기 전달 방식과 이를 위한 어떤 다양한 디자인 요소 등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이야기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시각적 외적 요소가 만들어낸 내적 요소, 이야기가 전달되는 방식, 스토리텔링이 영상 콘텐츠 구조를 결정하고 이를 접하게 되는 사람들에 의해서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교과는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다양한 영상 디자인 요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 방법을 탐구하고 학습하게 된다.

시각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

인쇄매체를 포함하여 디지털 영상매체 등 각종 매체 전반에 있어서 시각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디자인 문제해결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개념적이면서 시각적인 접근방법과 표현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시각 디자인 전반에 관한 실무프로세스를 학습하며 이를 바탕으로 편집, 광고, 패키지, CIP 디자인 등에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유니버설제품디자인Universal Product Design

제품 영역에서부터 다양한 영역에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에 대한 컨셉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수 요소와 PPP를 통한 평가방법, 제품과 환경에의 적용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한다.

패키지디자인Package Design

패키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구조를 실물 제작하며, 시각화 작업을 통해 포장의 기능과 시각적 디자인 표현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스마트솔루션디자인Smart Solution Design

본 교과목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촉발된 초연결사회 개념을 기초하여 Connected Device 개념에 기반한 선행제품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요구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지능형 제품디자인 컨셉 도출과 최종 결과물까지의 모든 과정을 실무형 디자인프로세스로 경험하고 새로운 디자인 기회를 모색한다.

내러티브영상Narrative Image

프로페셔널이 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일련의 영상 제작 과정을 경험하고, 내용 전달이 가능한 영상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물인터랙션디자인Interaction Design of Things

본 교과목은 사용자와 사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뿐만 아니라 사물과 사물 간 상호작용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행동 의도, 사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디자인을 전개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성 향상 및 새로운 사용방식을 제안하는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의 고급역량을 배양한다.

크리에이티브디자인Creative Design

본 수업은 다면적 디자인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개념적인 접근이 활용된다. 우리 생활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문제를 찾아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검토하고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2차원 및 3차원적 성격을 가지며 그래픽 디자인의 모든 요소와 개념을 포함한다. 수업을 통해 각 학생은 프로젝트 솔루션을 설계하는 독특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

UI/UX디자인UI/UX design

본 강의에서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개념에 따라 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그 원칙들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된다.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각 영역에서 UI/UX 디자인 기획과 제작에 관한 일련의 과정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훈련한다.

디자인마케팅Design Marketing

현대 사회에서의 디자인은 기업의 전략적 자산으로 마케팅과 함께 통합된 경영 전략의 하나로써 인식되고 있다. 좋은 디자인은 좋은 기획에서 시작된다. 마케팅의 경우 서비스와 제품 기획과 시장 분석, 트렌드 분석, 경쟁 분석 등의 기획 활동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와 감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활동과 그 프로세스와 목적이 상당 부분 유사하다. 이런 부분들을 고려해 본다면 디자이너는 창조적 사고를 하는 또 다른 마케터라고 할 수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의 디자인과 마케팅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분석, 사례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들을 학습하도록 한다.

아이덴티티디자인Identity Design

CI, BI를 비롯한 시각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배우고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실기 수업이다.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

본 과정에서는 산학 협동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디자인 실무 과정을 연구한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게 디자인의 원리와 혁신적 문제해결 방법을 소개하고, 전공별로 서로 협력하여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수업이다. 본 수업은 강의, 사례연구 등과 함께 전공별 팀을 이루어 실제적 문제해결의 프로젝트로 진행된다. 또한 본 수업에서 진행된 각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도출해낸 디자인 결과물은 프로토타입을 통해 현실화 가능한 것으로 최종 제안된다.

미디어디자인프로젝트Media Design Project

In this lecture, students will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design and ways to solve digital communication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approach to changing design patterns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practical approach to digital media design through an individual design project based on recent trends and analysis of various media communication phenomena, along with a theoretical approach to design forms that 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such as UI/UX and digital images.
본 강의에서는 미디어 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UI/UX와 디지털 영상 등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디자인 형태에 대한 이론적 측면에서의 접근과 함께 최근의 트렌드와 각종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현상 분석을 바탕으로 한 개별 디자인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관련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브랜드디자인프로젝트Brand Design Project

This course allows students to find problem solving methods for brand, based on understanding of overall brand experience and application. Through self-led project, students learn to actively seek for visual design solutions.
본 수업은 브랜드 디자인의 전반적인 이해와 적용을 통해 브랜드의 시각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스스로 만든 브랜드를 발전시키고 확장, 적용하는 개별 디자인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주도적 디자인 진행 능력을 기른다.

산업디자인프로젝트Industrial Design Project

The Industrial Design Project module is the final course in an effort to conduct a graduation project wherein throughout design knowledge and skills cultivated in the previous three years are applied. This module provides a basis for students to develop outstanding product design competencies through conducting an individual product design project, enabling demonstrating to fluent level in product design. In-depth learning of the module towards the mid of the 4th year, together with the individual project performance for further polishing various product design competencies, support the students with starting to develop a distinct professional identity.
산업디자인프로젝트 수업은 졸업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마지막 과정으로, 그 동안 축적된 디자인 지식과 스킬을 전체적으로 적용합니다. 이 수업은 개별 제품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뛰어난 제품 디자인 역량을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심화 수준의 제품 디자인 능력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4학년 중반을 향한 수업의 심층 학습과 다양한 제품 디자인 역량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한 개인 프로젝트 수행과 함께 뚜렷한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기 시작하도록 지원합니다.

시각디자인프로젝트Visual Communication Design Project

This course is the first of two courses preparing for graduation project, continued in 2nd semester. Planning and designing graduation project will be core of the course, practicing design thinking and expressing what students have learned throughout the years.
시각디자인 졸업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첫 번째 수업으로 2학기 때 이어서 진행이 되며, 그동안 익힌 디자인 사고와 표현을 토대로 졸업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디자인프로젝트Image Design Project

Through this course, it can be experienced the planning,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as an designer for moving images. This course is focusing on creating short film of moving images for the degree show.
이 수업은 졸업작품 제작과정으로서, 수업 과정을 통하여 영상 기획, 제작, 후반 작업의 과정을 거치며 영상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자질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최종적으로 이미지를 이용하여 영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품디자인프로젝트Product Design Project

Understands the design developing process that applies to a detailed mass production and plans product development through actual researches on target market, customers, and product environment, and enables to experience systematical and logical design development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rough this.
합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제품디자인의 영역 전반에 걸친 검토와 4차 산업사회 구조에서의 디자인의 역할 및 그 대상들을 재확인해 봄으로써 미래를 향한 새로운 가능성 등을 모색한다.

융합미디어디자인Convergence Media Design

This course is for students who prepare graduation exhibition, INU division of design (digital media design track). The results of individual projects in this course will be used as a work for the graduation exhibition.
본 수업은 영상디자인 트랙의 미디어 디자인 전공 졸업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수업이다. 미디어 디자인에 필요한 개인 능력을 파악하고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특성에 맞는 성공적인 졸업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융합브랜드디자인Convergence Brand Design

This course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their own brand from its birth to its application, based on market and consumer research. Each student selects their theme and enhances their skill on overall brand communication, through selecting suitable communication approach for each subject and idea.
본 수업에서는 시장 환경에 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브랜드의 탄생과 확장을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다.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각 주제와 아이디어에 어울리는 소통의 방식을 선택해가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반에 걸친 능력을 향상한다.

융합산업디자인Convergence Industrial Design

This is a required course for 4th grade student to graduate.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for product design majored students to research, plan, and organize their projects for the graduation. The course will cover design planning, design development, and representation.
4학년 졸업전시를 위한 기획 및 컨셉 발굴을 위한 제품디자인 실습과목이다. 디자인의 통합적 접근을 통하여 개인 또는 그룹으로 졸업작품을 기획, 제작, 완성하고 아울러 이를 위한 효과적인 전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융합시각디자인Convergence Visual Design

This class is for the graduating production course of visual design, and it magnifies the value of the graduating works of design through the class. Being trained for a comprehensive theory and hands-on exercise of design, and that sets up the appropriate design study directions of major field which conduc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as global designers.
본 강좌는 시각디자인의 졸업작품 제작과정으로서, 수업과정을 통하여 시각디자인 졸업작품의 가치를 극대화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각디자인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과 실습을 기반으로 전공분야의 올바른 디자인 연구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글로벌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융합영상디자인Convergence Image Design

This course allows the student will acquire the ability to convergence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medium and expression of a variety of image design. Students are to complete the development and ideas through practical projects dealing with the topics and types of design throughout the image area to prepare a portfolio for such employment.
학생은 다양한 영상디자인의 매체와 표현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디자인 능력을 습득한다. 영상디자인 영역 전반에 걸쳐 과제의 주제 및 형식을 다루고 실습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완성하여 취업 등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준비한다.

융합제품디자인Convergence Product Design

Understands the design developing process that applies to a detailed mass production and plans product development through actual researches on target market, customers, and product environment, and enables to experience systematical and logical design development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rough this project.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그리고 제품 환경에 대한 실제적인 리서치를 통해 제품개발을 구상하고 또 구체적인 양산에 준하는 디자인개발 프로세스를 이해시키며, 이를 통한 분석, 종합, 평가에 이르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디자인개발을 체험케 한다.